IDP2101 | 드로잉 1 Drawing 1 드로잉을 통하여 사물의 관찰력과 표현능력을 기르고 동, 서양의 소묘기법을 응용 습득한다. 아울러 평면적인 표현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표현에의 관심도 갖는다. |
---|---|
BUA4402 | 불교건축론과 보수 Theory of Buddhist Architecture 불교사원과 불탐의 기원과 전개, 도상내용과 미양식을 슬라이드, 도판 등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하며 보수의 이론과실습도 겸한다. |
BUA4352 | 불화표현기법 Buddhist Painting and Danchang 불화의 제작기법을 익히고, 다양하게 탐구하고 체계적으로 연구한다. |
BUA4353 | 불교공예론 The Theory of Industrial Art 불교공예는 일종의 종교 고예로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공예와 엄연히 구분해야 할 것이다. 사회발전과 더불어 공예역시 점차로 변형되어 가고 있으며 이들의 쓰임새도 규정되어 있으나 점차로 그 의의를 망각하므로 올바른 종교 공예에 대한 이해증진에 목표를 둔다. |
BUA4451 | 불교회화 4 Buddhist Art 4 불교미술실기의 마지막 단계인 졸업 작품의 내용과 동상의 구도, 형태, 색채, 무늬를 완성도 높게 실습하여 졸업작품을 완성한다. |
BUA4452 | 불화불상론과 실습 Practical talant in the Buddhist Art 새로운 불화불상을 창조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을 이론적으로 학습하고 실제로 탐구한다. |
KOP2101 | 기초한국화 1 Fundamental Korean Painting 1 재료의 특성과 용구의 활용방법을 이해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표현방법을 연습한다. |
KOP2151 | 기초한국화 2 Fundamental Korean Painting 2 소재 / 주제에 따른 표현방법을 습득시키고 필묵 운용의 기초를 확고히 한다. |
KOP2201 | 한국화 실습1 Korean Painting 1 전통회화 교수법인 모사 방법을 통하여 회화정신 및 기법을 익히고 이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전통의 새로운 해석과 가능성을 모색한다. |
KOP2251 | 한국화 실습2 Korean Painting 2 한국화 실습1의 심화 과정으로 필묵의 기법,설채의 방법 등 깊이 있게 체득하여 전통회화의 표현 능력을 기른다. |
KOP2202 | 서예 Caligraphy 문자예술인 서예의 훈련을 통하여 전통 문화를 인식하고 조형 능력과 창의성을 높인다. |
KOP2203 | 인물화 연구 image of character study 전통회화의 인물화 표현 방법과 정신성 을 이해하고 이를 오늘의 시대상에 반영 하여 인물화 창작 능력을 기르는데 중점을 둔다. |
KOP2252 | 문인화 Literati paintings 전통 문인화 양식의 형성과 그 변천 과정을 이해하고 기법의 연마를 통하여 시대예술로 이끈다. |
KOP2253 | 선묘연구lines of picture study 동양회화의 기본적 표현방법인 선조(線條) 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이에 대한 연마 를 통하여 회화 창작의 기량을 넓히고 자기 창작에 활용토록 한다. |
KOP4302 | 회화 표현기법 Presentation Techniques 각종 재료와 용구에 따른 다양한 표현 방법을 실습하고 새로운 표현 효과를 얻어 창작에 적용한다. |
KOP4303 | 동양미술사 History of Eastern Art Painting 동양회화의 중심축을 이루었던 중국 회화에 대한 이해와 아울러 한국, 일본 등과의 영향 관계를 인식한다. |
KOP4304 | 산수화 연구 landscape 전통 산수화의 창작정신과 준법 수지법등의 표현방법을 깊이 있게 인식하고 현대 산수화의 가능성을 모색하도록 한다. |
KOP4354 | 색채조형 color modeling 동양 전통의 색채의 활용과 시각특성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실기 실습을 통해 자기 창작으로 이끈다. |
KOP4402 | 한국화창작실기 1 Creation Practice of Korea Painting 1 기존의 기법, 기교의 한계를 뛰어넘어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표현 능력을 연마한다. |
KOP4403 | 현대회화 1 contemporary art 2 자연과 인간사회에서 얻어지는 미적 이미지를 시각언어로 표출함에 있어 동양회화의 정신과 기법을 확대하여 깊이 있는 표현 능력을기른다. |
KOP4452 | 한국화창작실기 2 Creation Practice of Korea Painting 2 ‘한국화 창작실기1’의 심화과정 |
KOP4453 | 현대회화 2 contemporary art 2 현대회화 1의 심화과정 |
KOP4301 | 형상표현 1 image behaviour 1 자연과 인간사회에서 얻어지는 미적 이미지를 시각언어로 표출함에 있어 동양회화의 정신과 기법을 확대하여 깊이 있는 표현 능력을 기른다. |
KOP4351 | 형상표현 2 image behaviour 2 형상표현 1의 심화 과정으로 객관대상과 주관 감정의 조화를 유도하며 사물에 대한 인식과 표현 능력의 폭을 확대한다. |
KOP4401 | 수묵채색화 1 ink and color picture 1 기초과정에서 습득하고 연마한 이론과 실기능력을 바탕으로 자기 스스로 시각 언어를 표출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. |
KOP4451 | 수묵채색화 2 ink and color picture 2 수묵채색화 1의 심화 과정 |
KOP4352 | 회화재료기법 Painting Meterial and Techniques 주제에 따른 재료용구를 선택하여 자기 표현력을 기른다. |
KOP4353 | 미학 Aesthetic 동서미학의 이해를 통하여 미적 인식 능력과 지적 사유능력을 기른다. |
PAI101 | 기초회화 1 Fundamental Painting 1 회화에 있어 기본적인 조형원리를 익히고 기본적인 재료를 활용하는 기법을 익힌다. |
PAI2151 | 기초회화 2 Fundamental Painting 2 회화에 있어 기본적인 조형원리를 익히고 사실적인 표현을 통한 조형감각을 학습하며 다양한 표현을 위하여 여러 사조에 대한 관심도 갖는다. |
PAI2201 | 회화 1 Painting Practice 1 서양화의 특징, 재료에 대해 익히고 구상적 표현을 통하여 형태 파악과 톤(tone)에 대한 감각을 익히며 인물의 표현 등을 중심으로 서양화 기법의 기초를 익힌다. |
PAI2251 | 회화 2 Painting Practice 2 회화의 매체와 재료의 성질을 파악하며 구상적 표현을 통하여 대상의 표현능력과 기법을 연구한다. |
PAI4301 | 회화 3 Painting 3 전신 인체에 대한 연구, 오브제의 이용, 비구상회화의 기법, 재료, 이념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독자적인 표현능력을 함양한다. |
PAI4302 | 현대조형 1 Modern Mixed Media Workshop 1 현대미술의 다양한 매체 작업의 미학적 특질을 이론과 실기로써 이해하고, 여러 매체의 무한한 가능성을 탐색하고 경험한다. |
PAI4303 | 영상연구 Studies on Image 현대와 같은 복합예술시대에 영상이 매우 중요한 작품의 매체가 되므로, 사진예술을 중심으로 예술개념을 학습하고 기술적 방법 훈련과 조형화 작업을 훈련한다. |
PAI4304 | 미디어연구 1 Media study 1 기법, 재료, 이념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독자적인 표현능력을 함양한다. |
PAI4354 | 미디어연구 2 Media study 2 현대미술의 개념을 인지한 가운데 다양한 창작실험과 표현능력을 함양한다. |
PAI4401 | 회화 5 Painting 5 토론이나 발표를 통해 현대미술의 전체적인 흐름을 인지하고 다양한 표현기법을 동원하여 자유로운 주제의 독창적인 작품제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. |
PAI4402 | 서양화 창작실기 1 Creative Practice of Painting 1 현대회화의 새로운 예술정신을 고찰하고, 이를 바탕으로 자유로운 실험을 통한 독창적인 양식을 추구하여, 졸업 후 개성 있는 작품을 제작하도록 인도한다. |
PAI4403 | 혼합매체 1 Multi medial 1 현대미술의 전체적인 흐름을 인지하고 다양한 표현기법을 동원하여 자유로운 주제의 독창적인 작품제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. |
PAI4453 | 혼합매체 2 Multi medial 2 주제나 어떤 사조에 구애받지 않고 개성적인 작품제작을 통해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제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. |
PAI4351 | 회화 4 Painting 4 설치미술, 대지미술, 미니멀아트, 개념미술, 사실주의, 추상표현주의 등의 다양한 현대미술의 개념을 인지한 가운데 다양한 창작실험과 표현능력을 함양한다. |
PAI4352 | 현대조형 2 Modern Mixed Media Workshop 2 현대미술의 다양한 매체 작업의 미학적 특질을 이론과 실기로써 이해하고, 여러 매체의 무한한 가능성을 탐색하고 경험한다. |
PAI4353 | 미술비평론 Critical Issues in Art 현대 동서양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분석하고, 비평과 미학원리, 예술과 사회의 상호관계를 살피며 비평의 과제와 작품을 연구하여 개인의 작품세계를 넓힌다. |
PAI4451 | 회화 6 Painting 6 근대 이후 현대의 모든 미술의 흐름을 연구, 발표, 감상, 토론을 통한 학습과 어떤 주제나 어떤 사조에 구애받지 않고 개성적인 작품제작 통해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제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. |
PAI4452 | 서양화 창작실기 2 Creative Practice of Painting 2 현대회화의 새로운 예술정신을 고찰하고, 이를 바탕으로 자유로운 실험을 통한 독창적인 양식을 추구하여, 졸업 후 개성 있는 작품을 제작하도록 인도한다. |
PAI2202 | 드로잉연구 1 Studies on Drawing 1 드로잉을 통하여 사물의 관찰력과 표현능력을 기르고 동,서양의 소묘기법을 응용 습득한다. 아울러 평면적인 표현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표현에의 관심도 갖는다. |
PAI2252 | 드로잉연구 2 Studies on Drawing 2 드로잉을 통하여 사물의 관찰력과 표현능력을 기르고 동,서양의 소묘기법을 응용 습득한다. 아울러 평면적인 표현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표현에의 관심도 갖는다. |
PAI2203 | 조형 실기 1 plastic art 1 재료에 대해 익히고 구상적 표현을 통하여 형태 파악과 톤(ton)에 대한 감각을 익히며 인물의 표현 등을 중심으로 서양화 기법의 기초를 익힌다. |
PAI2253 | 조형 실기 2 plastic art 2 매체와 재료의 성질을 파악하며 구상적 표현을 통하여 대상의 표현 능력을 함양한다. |
SCU2101 | 기초조소 1 Fundamental Sculpture 1 인체의 사실적 표현을 통해 조형감각을 학습하며 그에 따른 다양한 표현방법을 연구한다. |
SCU2151 | 기초조소 2 Fundamental Sculpture 2 인체의 사실적 표현을 통해 조형감각을 학습하며 조형원리에 대한 이해를 통해 비구상적 표현을 학습 심화한다. |
SCU2201 | 소조 1 modeling 1 점토를 매체로 사실적인 인체 표현을 연구한다. |
SCU2251 | 소조 2 modeling 2 소조 1의 심화과정 |
SCU4301 | 소조 3 modeling 3 점토를 매체로 다양한 인체 표현을 연구한다. |
SCU4351 | 소조 4 modeling 4 소조3의 심화과정 |
SCU4401 | 소조 5 modeling 5 점토를 매체로 다양한 인체 표현을 연구한다. |
SCU4451 | 소조 6 modeling 6 소조5의 심화 과정 |
SCU4402 | 조소창작실기 Creation Practice of Sculpture 모색 가능한 방법과 재료를 통하여 자신의 개념을 추구한다. |
SCU4403 | 혼합조각연구 1 combined Sculpture 1 혼합조각의 심화 과정 |
SCU4453 | 혼합조각연구 2 combined Sculpture 2 혼합조각연구 1의 심화 과정 |
SCU4353 | 동양 조각사 History of Eastern Sculpture 동양조각사를 중심으로 역사적 전개의 특성과 배경을 고찰한다. |
SCU4452 | 현대작가세미나 Seminar about Contemporary Sculptor 현재 활동중인 작가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작품세계를 연구한다. |
SCU4302 | 혼합조각 Combined Carving 여러 가지 재료를 통한 다양한 조각의 기법을 연구한다. |
SCU2202 | 석조 Stone Sculpture 인체 또는 추상형태를 주제로 석재의 특성에 따라 기법의 다양한 방법과 조각성을 모색하고 표현한다. |
SCU2203 | 재료기법 1 material study 1 점토 속성을 통하여 그 형태 및 기법을 연구한다. 다양한 재료를 매체로 그 기법과 물성을 연구한다. |
SCU2253 | 재료기법 2 material study 2 배료 기법 1의 심화 과정 |
SCU2252 | 목조 Wood Sculpture 인체 또는 추상형태를 주제로 목재의 특성에 따라 기법의 다양한 방법과 조각성을 모색하고 표현한다. |
SCU4303 | 서양조각사 History of Western Sculpture 원시시대부터 현대까지의 서양조각사 중심으로 역사적전개의 특성과 배경을 고찰한다. |
SCU4304 | 금속조 1 metal work 1 금속을 재료로 그 기법과 물성을 연구한다. |
SCU4354 | 금속조 2 metal work 2 금속조 1의 심화 과정 |
SCU4352 | 설치와 매체 Installation and Media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작품에 대한 인식론적 측면의 개념을 연구하고 실제 작업을 통해 응용한다. |